사진관련 Q/A가 로그인 안되서요...
페이지 정보
본문
이사장님 안녕하세요?
질문이 있는데 사진관련 Q/A가 로그인이 안되서 게시판에서 여쭐께요.
혼자 사진을 배우는 중이라 궁금한 게 많거든요.
오늘 벨비아 50 필름 현상된거 보니까 콘트라스트가 강하게 표현이 잘 된거 같은데요,
전체적으로는 괜찮은데 하늘 부분이 하얗게 날라간게 보이거든요.
역광상태의 하늘은 괜찮은데 순광상태는 하얗게 나왔어요.
저는 노출에 대해 정확한 지식이 없이 주로 조리개우선모드로 그냥 촬영하거든요.
이사장님께서 벨비아 50 필름은 현상시 조금 푸쉬를 하시는지요?
앞으로 벨비아 50으로 촬영시 노출보정을 어떻게 해야 할까요?
카메라 감도수치를 100으로 놓고 하면 되나요? 아니면 그때그때 노출보정을 해야 할까요/
바쁘신데 귀찮게 해드려 죄송합니다. 그리고 여러모로 감사합니다.
댓글목록

청원님의 댓글

벨비아의 특성상 콘트라스트가 강한 것은 장점일 수도 있고 단점일 수도 있습니다.
암부의 디테일이 살면 명부의 디테일은 하얗게 날라 갈 수 밖에 없습니다.
역광상태의 하늘이 괜찮은 것은 당연한 것입니다만, 대신 어두운 부분은 완전히 새까만 단점이 있으며, 순광상태에서는 노출이 조금만 오버되어도 하늘색이 하얗게 날라가지만 순광이기 때문에 하늘 이외의 다른 풍광들은 제대로 나오게 됩니다.
참고로 저는...
순광일 경우, 스모그가 약간 낀 순광 등에서는 벨비아50을 감도100으로 촬영하여 한스톱 증감현상합니다. (이경우 콘트라스트 증가로 인해 하늘 색감이 역광의 하늘 색감과 비슷하게 나옵니다. 단, 적정노출 촬영은 필수입니다. )
사광이나 역광일 경우, 콘트라스트가 강한 풍광일 경우, 인물촬영일 경우에는 코닥100vs를 사용합니다. (벨비아50에 비해 콘트라스트가 약하기 때문에 암부나 명부의 디테일이 모두 표현 하기 위해서 입니다.)
## 그러나 모든 조건에서 그렇게 촬영하지는 않습니다. 간혹 순광일 때에도 100vs를 사용할 때도 있고, 사광이나 역광일 때에도 벨비아50을 사용할 때도 있습니다. 표현하고자 하는 의도에 따라서 그때그때 다릅니다만, 보편적으로 그렇게 촬영한다는 것입니다.
현상을 할때 필름에 따라서 임의대로 푸쉬를 하지 않습니다. 그럴 경우 난리가 납니다. 현상을 할때는 무조건 적정 현상을 하오니 촬영하실때 적정촬영을 하셔야 합니다.
벨비아로 촬영할때 노출 보정은 촬영하고자 하는 상황에 따라 모두 다르기 때문에 답을 드릴 수가 없습니다.
감사합니다.